<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>
○ 조사기간 : ’15년 9월 10일 ~11월 10일 (2개월 간)
○ 조사대상 및 방법
-〔일반국민〕전국 19세~74세 성인 4천명, 가구방문 면접조사
-〔청소년〕전국 122개 중·고교 재학생 3,640명, 학교방문 집합조사
※ 통계청 승인받은 최초 정기조사, 매 3년마다 지수 발표 및 정책효과성 분석 예정
(’11년 성인·’12년 청소년 대상으로 일회성 조사를 실시한 바 있음)
○ 조사결과 : 2016.3.15 여성가족부.
□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.
○ 조사 결과,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53.95점, 청소년은 67.63점으로 조사되었다.
- 성인의 경우 지난 ’11년 말에서 ’12년 초에 걸친 조사 당시 다문화수용성 지수(51.17점)보다 2.78점 상향된 결과로, 종전보다 다문화에 대한 생각이 다소 수용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.
* 청소년의 경우에도 ’12년말 조사된 지수(60.12점)보다 향상되었으나, 조사 척도의 차이(’12년 말 5점 척도 → ’15년 6점 척도)로 단순비교는 곤란
- 연령대별로는 청소년(중·고생) 67.63점, 20대 57.50점, 30대 56.75점, 40대 54.42점, 50대 51.47점, 60대 이상 48.77점으로 젊은 연령층일수록 다문화에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.
2. 주요 선진국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낮은 편 |
○ 성인(일반국민) 대상 주요 조사항목을 국제지표 항목과 비교해 본 결과, 우리나라의 다문화수용성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
- 예를 들면, ‘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을 우선 고용해야 한다’와 ‘외국인 노동자를 이웃으로 삼지 않겠다’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, ‘자신을 세계시민으로 생각한다’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.
<주요 국제지표 항목>
(단위 : %)
구 분 |
한국 |
미국 |
독일 |
스웨덴 |
호주 |
일자리가 귀할 때 자국민 우선 고용에 찬성 |
60.4 |
50.5 |
41.5 |
14.5 |
51.0 |
외국인 노동자/이민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음 |
31.8 |
13.7 |
21.5 |
3.5 |
10.6 |
자신을 세계시민으로 생각(대체로 또는 매우 그렇다) |
55.3 |
69.1 |
62.3 |
82.0 |
79.5 |
* 출처 : ’15년 성인(일반국민) 다문화수용성조사, World Value Survey(’10~’14)
3. 다문화 교육·활동 참여 경험, 다문화 수용에 긍정적 경향 |
○ 다문화 교육·행사, 이주민 관련 자원봉사·동호회 등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성인·청소년 모두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게 나타나, 다문화 이해교육과 다양한 활동 참여가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.
○ 특히, 다문화 교육을 한번 받은 성인의 경우 수용성 지수가 56.29점, 두 번 받은 경우 55.13점에 그친데 반해, 세 번 이상 받은 경우 수용성 지수가 64.03점으로 크게 높아져 지속적·반복적 교육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.
- 이에 비해, 우리 국민의 다문화 교육 이수와 활동 참여가 매우 저조*한 것으로 파악되어 개선책 마련이 요구된다.
* 성인 : 다문화 교육 참여(5.5%), 자원봉사 참여(4.2%), 동호회 참여(2.7%) * 청소년(최근 1년간) : 다문화 교육 참여(25.7%), 다문화 활동 참여(4.6%)
4. 상호 이해관계 있는 내국인, 다문화수용성 상대적으로 낮아 |
○ 외국인·이주민을 친척(55.67점), 친구(58.1점), 직장동료(60.38점)로 둔 경우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높았으나, 단순히 이웃(52.41점)하여 사는 경우에는 지수 평균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.
○ 또한, 직종별로는 외국인·이주민 다수 취업 업종 종사자의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.
* 단순노무(51.22점), 농림어업(51.83점), 기능·조립(52.96점)
○ 이는 외국인·이주민과 접촉·교류가 많을수록 다문화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나, 취업 경쟁이나 생활공간 공유 등 상호 현실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.
5. 다문화수용성 낮은 대상별 맞춤 대책 필요 |
○ 고연령층(50대 51.47점, 60대 이상 48.77점), 전업주부(51.40점) 등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, 이주민을 자연스럽게 접함으로써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대상별 맞춤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.
□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결과에 따라, 유관부처와 협력해 수용성 취약계층에 한층 다가가는 맞춤형 교육·홍보, 온라인교육 사이트 운영 등을 통한 다문화 이해교육 기회 확대, 청소년 수련시설 등과 연계한 공교육 강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.
□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“국내 다문화가족 82만 명, 외국인 170만 명인 시대를 맞아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이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, 생활 속에서 ‘다문화’라는 말 자체를 국민 누구도 의식하지 않을 때 진정한 사회통합이 이뤄지는 것”이라고 강조하고,
○ “이번 조사결과 다문화이해교육과 활동 경험, 교류 여부 등이 다문화수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, 다문화이해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연령과 직종을 포함한 전 계층에서 다문화가족과 교류와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더욱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”고 밝혔다.